본문 바로가기
승마 교육 이론

승마 연결 유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설명

by KTP 엄지 손가락 2024. 4. 28.
반응형

 

 

 

연결유지에 있어서 올바른 고삐 길이

고삐의 알맞은 길이를 찾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상체 앞으로 주먹을 쭉 벋어 고삐를 팽팽하게 당겨 잡는 것입니다. 이 경우 말 목의 자세는 자연스러운 상태입니다. 이러한 길이에서 고삐는 언제 어느 상황에서도 즉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세에서 주먹은 유순하게 말 입의 움직임을 따라야 하고 말이 기수의 주먹에서 고비를 잡아 당겨 내려고 할 대에는 부동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어린 말의 자연스러운 목 자세에 맞춘 고삐의 길이는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 중에서 가장 긴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조교가 진척됨에 다라 말의 목은 점차적으로 활 모양으로 구부러지고 서게 되어 이에 따라 고비의 길이도 줄여 나가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 말은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목을 상당히 앞으로 뻗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말이 목을 뻗을 때에 기수는 고삐를 늘려서가 아니라 주먹과 팔로 이 뻗는 동작을 쫓아야 합니다. 이렇듯 주먹과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허용된다는 사실은 장애물 비월 기좌의 현재와 같은 형태가 생기게 된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고삐 연결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3가지 주된 과실이 있습니다. 즉, 말이 목과 머리를 과도하게 숙임으로써 재갈과의 연결이 뒷쪽 방향으로 떨어졌을 경우 말은 재갈을 혓바닥 아래로 내려 놓고 있게 됩니다. 머리를 치켜 올림으로써 말은 윗쪽 방향으로 연결을 떨어지게 합니다. 말은 재갈을 혓바닥 위로 놀려 놓게 됩니다. 말이 앞쪽 방향으로 목과 머리를 뻗거나 밀게 됨으로써 연결을 거부할 경우 말은 기수의 주먹을 당기거나 밀게 됩니다. 말의 거부반응이 표출되는데 있어서의 차이점은 말이 기수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과실을 교정하는 방법은 본질적으로 대동소이합니다. 그 이유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행동은 주로 말의 정신적 거부에 의해서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거부 반응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유연한 늦춤 기능을 반복해서 시행하는 것입니다. 강력한 동작의 적용은 단지 제한된 역할만을 할 뿐입니다. 결과적으로 기수는 자신이 처해 있는 경우에서 주저하지 말고 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의 기능들을 반복해야 합니다. 말이 거부 반응을 보이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수가 이완의 순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양 주먹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사용한 경우 기수는 유연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재갈은 간헐적으로 입을 당기게 되고 입과의 연결은 떨어지게 됩니다. 기수가 체중을 말 등위에 경직되게 고정시켰을 경우 마체 아래서의 비절 운동을 촉진시키고 말의 화기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기수가 자신의 다리를 잘못 사용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결점을 치유하는데 있어서의 가장 첫번째 단계는 기수의 잘못된 행동을 고정하는 것입니다. 좀 더 심한 경우에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서 이 같은 일반적인 조치 이외의 방법들이 권유 됩니다.

 

 

말의 재갈과 교정의 핵심 내용 알아 보기

교정의 핵심은 말이 정상적인 자세로 재갈을 물고 주행하는데 있습니다. 고삐를 잡아 당김으로써 말의 회피 동작을 막으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교정절차는 순서대로 진행해야 합니다. 우선 고삐를 늦춰주면서 말을 힘차게 앞으로 몰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말을 점검하기 위해서 반정지를 합니다. 말이 과도하게 목을 구부리면서 저항하면 감속을 즉각 중단하고 다시 질주합니다. 이렇게 질주하다가 반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해 봅니다. 주행의 단계에서는 고삐를 잡는데 있어서 미는 느낌을 갖도록 할 것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말이 저항을 포기하고 고삐에 부드러운 연결을 유지할때까지 균형적인 방법으로 유연하게 하지만 단호하게 반복합니다. 기수의 연속되는 기능은 긴장을 푼 상태의 주행과 교대로 반복되는 당김 동작, 그리고 신속한 이완과 미는 느낌을 반복해서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혼합 기능을 섞어야 합니다. 우선 유연하고 지속적인 연결을 확립하고 고삐는 미는 느낌으로 잡습니다. 말의 저항을 앞의 경우에서와 같이 완화 절차를 통해 진정시킵니다. 그러나 이 동안에 주먹은 부동 긴장 상태로 전환해서 말이 머리를 쳐들며 고삐를 주먹에서 당겨 내려고 하는 순간에 재빨리 부동 긴장을 멈추고 주먹을 이완시킵니다. 부동 긴장의 효과는 입에 미치는 직접적인 감각으로 인해 말로 하여금 머리를 정지시키게 하며 곧 뒤이은 긴장의 이완은 말이 정신적 저항을 포기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전반적인 완화절차와 신속한 이완 없이 부동 긴장을 적용하는 것은 무익할 뿐만 아니라 유해하기까지합니다. 입에 대한 고삐 압력과 말 옆구리에 대한 다리 압력을 교대로 적용하는 혼합 기능의 진동운동을 예방 조치로서 사용해 보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말은 운동의 이행 시에 더욱 머리를 내젓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라서 혼합 기능의 진정과 이완 동작들에 의해 이행 과정을 유도하고 예고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그러한 기능들 중에 실시된 변화들은 그것이 갖는 이완 효과로 인해 말의 저항을 분산시키며 머리를 안정시킵니다. 이 과정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서 부동긴장의 기능들에 한두번 정도의 말 목을 두둘겨 주는 터치를 혼합하는 것도 유익합니다. 이는 말이 목과 머리를 쳐들려고 하는 순간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터치는 주먹 쥔 손으로 미는 듯이 양쪽을 신속하게 번갈아 가며 실시되어야 하며 등선 마루의 앞부분에 적용되어야 합니다. 즉각적인 경고는 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오히려 경직된 목에 기분 좋은 이완의 효과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말은 곧 그것의 뜻하는 바를 알아차리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동작은 전체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과 혼합되었기 때문에 말이 전체 과정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후에 말은 이러한 보조 수단의 도움 없이도 기수에게 유순히 복종할 것입니다. 이러한 동작의 수행은 기수에게도 혜택을 줍니다. 고삐를 당김으로 인한 비정상적 버릇을 교정코저 함으로서 고질화된 기수 주먹의 전진 동작을 자연히 막을 수가 있습니다. 운동 중에 목근육의 긴장을 풀어 주는 것은 때때로 등선 마루를 손으로 만지거나 갈기털 위를 종종 두드린다든지 해서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